2018. 10. 18. 15:55ㆍ공무원 영단어
영단어 20번째 강의입니다.
2017년 6월 17일 시행 지방직 9급 공무원 영어시험에 나온 단어 surrogate의 뜻을 아시나요?
Some of the newest laws authorize people to appoint a surrogate who can make medical decisions for them when necessary.
(1) proxy (2) sentry (3) predecessor (4) plunderer
[해석] 몇몇 새로 생긴 법들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경우 의학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대리인을 지정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
정답은 1번, proxy(대리인)입니다.
영어 학습자들에게 가장 힘든 부분이 어휘라고 할 수 있죠. 절대로 단기간에 되는 것이 아니므로 꾸준히 어원학습을 통해 여러분의 어휘력을 높여가시기 바랍니다.
자 그럼 오늘의 주제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건달(rogue)’과 ‘심문(interrogation)’, 그리고 ‘대리인(surrogate)’은 왜 모두 어원이 동일할까요?
오늘의 라틴어근은 rog = ask, 즉 ‘요구하다’, ‘질문하다’입니다.
원래 라틴어에서 rogant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영어로는 ask이고 이것이 rogate로 변화하여 여러 가지 중요한 영어단어들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1. rogue – 건달, 불량배, 사기꾼, (열등한) 변이개체, ~을 속이다 / roguery – 부정, 사기, 장난
(rog = ask이므로 정당한 대가 없이 약자로부터 요구하기만 하는 사람을 떠올려 보시면, ‘건달’, ‘불량배’를 충분히 연상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어원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이 있습니다. 즉, ‘Ask a favor’의 뜻으로 ‘신에게 용서를 구해야 할 나쁜 사람’의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케빈은 게임을 잘 안하지만 월드오브 워크래프트(World of Warcraft)에서 이 단어가 나오는 모양입니다. 제자들로부터 질문받은 기억이 있습니다. 이 단어는 원래 16~17세기 때까지 쓰였던 roger이라는 단어의 변형된 말입니다. 그 당시에는 ‘빌어먹고 사는 방랑자’의 뜻이었지만, 지금은 roger가 통신용어로 ‘알았음’, ‘좋아’, ‘통신확인’의 뜻으로 영화에서 “Roger that”의 형식으로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금 현대 영어에서는 roger와 rogue는 철저히 구별하셔야 할 것입니다)
2. interrogation – 심문, 취조, 질문
(inter = between이고 rog = ask이므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어느 쪽의 말이 맞는지 물어보다’의 의미를 바탕으로 이해하시면 interrogate가 ‘증인을 심문하다’라는 동사로 쓰임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interrogation은 명사형이므로 ‘심문, 취조, 질문’이 되고 아래의 interrogative와 구별하기 위해 유의하셔야 합니다)
3. interrogative – 질문의, 무엇을 묻고 싶어하는, 미심쩍은 듯한, 의문문의 / interrogative sentence – 의문문
(어원은 위의 interrogation과 동일합니다만,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의문문의, 질문의’의 뜻으로 쓰인 단어입니다)
4. surrogate – 대리인, (미국의) 유언 검증 판사 / surrogate mother - 대리모
(sur=sub = under의 뜻이 있으나 영어에서 sub 자체가 동사로서 ‘대신하다’, ‘대리하다’의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유래되어 ‘대신 (아기를) 요청하다’의 뜻으로 쓰여 ‘대리모’를 뜻하는 단어로 surrogate mother이 탄생하였습니다. 그리고 더욱 의미가 확장되어 전반적인 ‘대리인’의 뜻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5. derogate - (가치, 권리를) 떨어뜨리다, 훼손하다, 일탈하다
(de = down이고 rog = ask이므로 ‘가치를 낮추도록 요구하다’에서 유래된 단어입니다. 그러므로 derogatory는 형용사로서 ‘깔보는 듯한, 경멸에 찬’의 뜻으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6. abrogate – 취소하다, 배제하다, (법률 따위를)폐지하다
(ab = away이고 rog = ask이므로 ‘~을 버리라고 요구하다’라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쉽게 암기하실 수 있습니다. 명사형은 abrogation으로 ‘취소, 배제, 폐지’의 뜻을 가집니다)
7. arrogant – 거만한, 오만한, 건방진, 사람을 깔보는
(ar = to이고 rog = ask이므로 ‘~쪽으로 계속 요구하다’의 뜻에서 어떤 권리나 자격도 없이 계속 요구하기만 하는 모습을 그려보시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는 단어입니다. proud가 긍정적으로 ‘자부심있는, 자랑스러워하는’의 뜻도 있으나 부정적인 의미로 ‘건방진’의 뜻을 가질 때 그것보다 조금 더 정도가 강한 부정적인 단어로만 쓰이는 것이 바로 arrogant입니다)
'공무원 영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도 9급 공무원 기출 영단어 improvise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영어단어 이젠 어렵지 않아요!!! (0) | 2018.10.23 |
---|---|
영어에서 왜 ‘건망증(amnesia)’과 ‘사면(赦免)(amnesty)’은 비슷하게 생겼고 어원도 같을까요? (0) | 2018.10.19 |
모기지론(mortgage loan)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0) | 2018.10.16 |
베놈(venom)은 무슨 뜻일까요? (0) | 2018.10.01 |
소용돌이(vortex)와 수학의 꼭짓점(vertex), 그리고 버티칼(vertical)은 뿌리가 같은 어원입니다. (0) | 2018.09.28 |